올바른 전문가를 구분하는 방법
- C. R. Stella
- 2022년 8월 7일
- 2분 분량
1. 상징은 뇌피셜이 아니다.

메이저 2번, 고위 여사제는 잘못 해석되어지는 대표적 카드입니다. 배경에 흑백의 기둥이 있기 때문에 '흑백논리'라거나 '균형을 잡는 자'와 같은 키워드들이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심지어 방송에 출연하는 유명 강사는 유대교 경전인 토라(TORA)를 갖고 있기 때문에 율법으로만 판단하는 흑백논리라고 주장합니다. 하나부터 열까지 틀린 상징 해석이지만 초보자들은 종교학이나 신비주의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기 때문에 이런 주장도 그럴듯하게 들립니다. 이렇게 무비판적으로 수용된 지식을 활용해서 현업으로 활동하는 리더도 많습니다.
카드에 그려진 그림들은 하나부터 열까지 상징학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전혀 공부를 하지 않은 동양인이 눈으로 봐서 바로 알아채기 힘듭니다. 그러니 초보자가 본래 알고 있던 상식에서 그럴듯하다고 생각되어지면 오히려 문제가 있는 주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비주의 철학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여사제 카드는 표면적으로 드러난 상징만 가지고 해석할 수가 없는 카드이기 때문입니다. 2. 의심하고 비판하라

책이나 인터넷 강의 자료를 보면 별 카드는 '스타'라는 말과 함께 묶여서 희망, 성공이라는 뜻으로 자주 해석됩니다. 하지만 웨이트 덱의 제작자인 A.E.웨이트는 별 카드의 '희망'이라는 키워드가 수준이 낮다며 비판했습니다. 그럼에도 다수의 타로 강사들은 이 카드를 희망으로 읽는 데에 주저함이 없습니다.

순교자 카드라고까지 불리우는 <매달린 남자> 카드는 제작자인 웨이트가 직접 "허황된 해석"이라는 표현까지 쓰며 해당 키워드를 비판했습니다. 순교의 의미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죽음을 불사하고 희생을 당하는 카드가 아님에도 각종 유명 강의나 책에서는 현실을 받아들이는 희생이라거나 순교자라는 의미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바꿔서 말하면 타로 제작자가 쓴 해설을 읽어보지도 않은 사람이 유명세를 얻어 타로를 가르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유명 강사나 베스트셀러 책이라고 해서 옳은 이야기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고 계속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이런 부분 때문입니다. 틀린 지식을 배우면 당연히 틀린 해석을 할 수밖에 없고 최종적으로 나를 찾아와 해석을 받는 시커에게 피해를 주게 됩니다. 취미로 지인들에게 가볍게 봐주는 수준이라면 크게 상관이 없지만, 현업을 지망하는 직업 타로 리더라면 이야기가 다릅니다. 잘못된 지식을 바로잡지 않은 업계의 구조적 문제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한번도 스스로 검증하지 않고 받아들인 책임은 스스로에게 있는 까닭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읽는 책이나, 수강하는 강의에 이런 내용이 나온다면 한 번쯤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올바른 지식을 찾는 일은 타로 분야에서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입니다. 일견 보기에 아무런 기준도 정답도 없을 것 같지만 타로는 카드 의미를 해석하는 정답이 있는 분야입니다. 그래서 리더에 따라 해석의 디테일한 부분이 다를 수는 있지만 두 사람 모두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 하에 전체적인 해석의 틀이 같게 나옵니다. 작가가 의도라는 기준이 존재하기 때문이지요.
초보자 분들은 정보에 목이 말라서 어떤 내용이든 우선 받아들이고 보는 경우가 많지만 이전 칼럼에서도 언급했듯이 잘못된 정보를 습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가 양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Comments